지형의 기억 / Memory of Topography
teamLab, 2018, Interactive Digital Installation, Sound: Hideaki Takahashi
PLAY MOVIE
youku-
여름, 계단식 논
-
여름, 계단식 논
-
여름, 계단식 논
-
여름, 반딧불이
-
여름, 백일홍
-
여름, 백일홍
-
여름, 솜털
-
여름, 솜털
-
여름, 메뚜기
-
여름, 메뚜기
-
봄, 벚꽃
-
봄, 벚꽃
-
봄, 벚꽃
-
봄, 밤 벚꽃
-
봄, 밤 벚꽃
-
봄, 유채꽃
-
봄, 유채꽃
-
봄, 유채꽃
-
봄, 등나무 꽃
-
봄, 등나무 꽃
-
봄, 등나무 꽃
-
봄, 라벤더
-
봄, 라벤더
-
봄, 제비
-
봄, 제비
-
봄, 제비
-
봄, 강과 은어
-
봄, 강과 은어
-
봄, 강과 은어
-
가을, 계단식 논
-
가을, 계단식 논
-
가을, 계단식 논
-
가을, 계단식 논
-
가을, 금목서
-
가을, 금목서
-
가을, 단풍
-
가을, 단풍
-
가을, 찌르레기
-
가을, 찌르레기
-
가을, 고추잠자리
-
가을, 고추잠자리
-
겨울, 가랑눈
-
겨울, 가랑눈
-
겨울, 눈보라
-
겨울, 눈보라
-
겨울, 동백꽃
-
겨울, 동백꽃
-
겨울, 동백꽃
-
겨울, 동백꽃
-
겨울, 찌르레기
-
겨울, 찌르레기
-
겨울, 찌르레기
-
겨울, 찌르레기
-
겨울, 찌르레기+가랑눈
-
겨울, 찌르레기+가랑눈
-
겨울, 북풍
-
겨울, 북풍
-
겨울, 북풍
-
겨울, 북풍
-
겨울, 가랑눈+북풍
-
겨울, 동백꽃+북풍
-
겨울, 동백꽃+북풍
-
겨울, 동백꽃+북풍
-
가을, 찌르레기+북풍
-
겨울, 찌르레기+북풍
-
겨울, 매화
-
겨울, 매화
-
겨울, 매화
-
겨울, 매화+가랑눈
-
겨울, 매화+가랑눈
-
겨울, 매화+찌르레기
-
겨울, 매화+북풍
-
겨울, 매화+북풍
지형의 기억 / Memory of Topography
teamLab, 2018, Interactive Digital Installation, Sound: Hideaki Takahashi
This artwork installation depicts a rural mountain landscape of varying elevations. The scenery instills in the viewer a feeling of eternal permanence, however with the flow of real time the scenery is continuously changing. In the spring, the rice fields are still small and lush. In summer, they begin to mature, and in fall, they turn a golden color. And with the flow of time, the insects and flowers that make an appearance also change. The movement of insects is influenced by the movement and actions of people. And as people move around, the flow of air changes and blows the rice plants or scatters flower petal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is work will hardly change with each year. However, as in nature, the scenery is actually changing and you will never see the same scenery twice. This moment will never be repeated and can never be seen again. Seemingly unchanging landscapes, go on year after year for eternity.
The work and the canvas that mediates it are separated - the canvas has become transformative. The visual illusion produced by continuous dynamic change causes the viewer to become bodily immersed in the work, and the border between the viewer and artwork dissolves. As the unified world changes, viewers may feel a sense of melting into the world, becoming one with it and with each other.
(오늘의 지형의 기억)
계단식 논1년간의 현실 시간의 흐름에 맞춰 시시각각 변화한다. 때로는 비가 오고, 봄에는 아직 작고 푸르던 벼가 여름이 되면 자라나, 가을에 황금빛으로 물든다.
사람들이 움직이면 공기의 흐름이 바뀌어, 그 흐름을 따라 벼들도 이리저리 흔들린다.
벚꽃
머리 위부터 발밑까지 벚꽃이 피어난다. 사람들이 움직이면 가까이 있는 벚꽃들도 흩날린다.
밤 벚꽃
머리 위에서 벚꽃들이 피어난다. 사람들이 움직이면 공기의 흐름이 바뀌면서, 흩날리는 벚꽃잎들의 움직임도 변화한다.
유채꽃
머리 위쪽부터 발밑까지 유채꽃들이 피어난다. 사람들이 움직이면 가까이 있는 꽃들이 흩날린다.
등나무 꽃
머리 위로 등나무 꽃이 피어난다. 사람들이 움직이면 공기의 흐름이 바뀌어, 그에 따라 흩날리는 꽃잎들이 움직임도 변화한다.
라벤더
머리 위쪽부터 발밑까지 라벤더가 피어난다. 사람들이 움직이면 가까이 있는 꽃들이 흩날린다.
제비
제비는 사람들을 인식하며 부딪히지 않도록 사람들을 피해 다닌다. 사람들은 각자의 색을 가지고 있어, 사람 근처를 지나간 제비는 그 사람의 색으로 물든다.
강과 은어
사람들이 움직이면 물의 흐름이 바뀐다. 물고기는 사람들을 인식해, 사람들이 가까이 다가가면 도망간다.
The Way of the Sea in the Memory of Topography - Colors of Life
통로를 지나 이 공간으로 ‘The Way of the Sea’의 물고기떼가 들어오면 작품이 시작됩니다. 물고기떼가 공간을 나와 없어지면 작품도 종료됩니다.
빛으로 그려진 물고기떼가 자유자재로 헤엄칩니다. 물고기는 사람들을 인식하고 부딪히지 않도록 사람들을 피해 다닙니다. 사람들은 각각의 색을 가지고 있어, 사람 근처를 지나간 물고기는 그 사람의 색으로 물들어갑니다.